400명 넘는 사망자, '살인 진드기' 공포 속 예방 예산 '0원'…농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현실
치명적인 SFTS, 400명 넘는 사망자 발생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으로 인한 사망자가 400명을 넘어섰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치명률이 18.2%에 달하는 SFTS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감염병으로, 감염 시 사망에 이를 수 있어 더욱 심각합니다. 14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조경태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SFTS 누적 사망자는 406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SFTS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수치이며, 농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예방 예산 '0원', 농민들의 불안감 증폭
하지만, 이러한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SFTS 예방을 위한 예산은 0원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총예산 18조 7,416억 원 중 SFTS 예방, 참진드기 방제, 농업인 맞춤형 교육을 위한 예산은 단 한 푼도 배정되지 않았습니다. 이는 SFTS의 위험성을 간과하고, 농민들의 안전을 소홀히 하는 처사로 비판받고 있습니다. 농민들은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지원 부족으로 인해 불안감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농식품부의 무관심, 현황 파악조차 미흡
농식품부는 SFTS 감염 경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농업인이 어디서, 언제 감염되었는지에 대한 기초적인 현황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은, 정부의 무관심과 무책임함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입니다. 이러한 상황은 SFTS 예방을 위한 정책 수립에 걸림돌이 될 뿐만 아니라, 농민들의 안전을 더욱 위협하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농민들은 감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무관심 속에서 스스로를 보호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고령층 농업인의 직업병으로 자리 잡은 SFTS
SFTS 감염 위험 요인의 63%가 '밭일·임산물 채취' 등 농업 활동과 관련 있으며, 환자의 84.4%가 60대 이상 고령층이라는 통계는 SFTS가 '고령층 농업인 직업병'임을 시사합니다. 고령 농업인들은 면역력이 약하고, 야외 활동 시간이 길어 진드기 노출 위험이 높습니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할 때, SFTS는 농업인, 특히 고령 농업인들에게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가 절실합니다.
조경태 의원의 지적: 직무유기, 즉각적인 대책 마련 촉구
조경태 의원은 농식품부의 무관심을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SFTS를 농업인 직업병으로 공식 인정하고, 실질적인 예방 대책과 예산 수립을 촉구했습니다. 진드기 기피제와 보호복 보급, 농업인 대상 교육 등 구체적인 대책 마련을 통해 농민들의 안전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조 의원의 지적은 SFTS 예방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을 촉구하는 중요한 메시지이며, 농민들의 안전을 위한 시급한 과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농민의 안전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 필요
SFTS는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치명적인 감염병으로, 농민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SFTS 예방을 위한 예산 확보, 감염 경로 파악, 농업인 대상 교육, 진드기 기피제 및 보호복 보급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농민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농업 현장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정부의 중요한 책무입니다. 농민들이 안심하고 농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핵심만 콕!
400명 넘는 사망자를 낸 SFTS, 예방 예산은 '0원'. 농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현실 속에서,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SFTS는 무엇인가요?
A.SFTS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약자로,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치명적인 감염병입니다.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며, 고령층 농업인에게 특히 위험합니다.
Q.SFTS 예방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나요?
A.진드기 기피제 사용, 긴 소매 옷 착용, 풀밭 출입 자제 등 개인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정부의 적극적인 예방 대책 마련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Q.농식품부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A.SFTS 예방 예산 확보, 감염 경로 파악, 농업인 대상 교육, 진드기 기피제 및 보호복 보급 등 실질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