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역대급 순매도 폭탄! 한국 증시, 이대로 괜찮을까?
AI 거품론과 외국인 매도세의 직격탄
최근 미국발 ‘인공지능(AI) 거품론’이 코스피 시장에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투자 심리가 급격히 위축되었습니다. 이러한 불안감 속에 지난 한 주간 외국인의 코스피 시장 순매도액이 역대 최대를 기록하는, 뼈아픈 현실을 마주했습니다.

7조 2천억 원, 멈추지 않는 매도 행렬
한국거래소 발표에 따르면, 이달 첫째 주(3~7일) 외국인의 코스피 시장 순매도액은 무려 7조 2640억 원에 달했습니다. 이는 주간 외국인 코스피 순매도액 기준으로 역대 가장 높은 금액이며, 이전 최고 기록인 2021년 8월 둘째 주의 7조 454억 원을 넘어선 수치입니다. 2021년 8월 당시에도 원/달러 환율 급등과 D램 가격 하락 우려 등, 반도체 업황 불확실성이 외국인 매도세를 부추긴 바 있습니다.

5거래일 연속 순매도, 공포는 어디까지?
외국인은 지난 3일부터 7일까지 5거래일 연속 순매도세를 기록했습니다. 순매도 규모는 3일 7950억 원에서 시작해 4일과 5일 각각 2조 원대로 급증했으며, 6일과 7일에도 1조 7000억 원, 4550억 원을 순매도하며 매도 행렬을 이어갔습니다. 특히 4일 순매도액(2조 2280억 원)은 일별 기준으로 2021년 8월 13일 이후 4년 3개월 만에 최대 규모였습니다.

고점 부담과 AI 거품론의 그림자
코스피 오름폭이 컸던 데 따른 고점 부담, 그리고 'AI 거품론'에 따른 미국 기술주 급락은 투자 심리를 더욱 위축시켰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외국인의 매도세를 부추긴 것으로 분석됩니다. 그 결과, 코스피는 이달 들어 3.7% 하락했으며, 특히 지난 5일에는 2.8% 넘게 급락하며 '검은 수요일'을 겪어야 했습니다. 프로그램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될 정도로 시장의 충격은 컸습니다.

반도체주에 집중된 매도 폭탄
외국인의 순매도세는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되었습니다. SK하이닉스는 3조 7150억 원어치 순매도되었고, 삼성전자 역시 1조 5030억 원어치 순매도되며, 두 종목에만 전체 순매도액의 72%가 쏠렸습니다. 반면, LG씨엔에스는 1940억 원 순매수하며 가장 많은 매수를 기록했습니다.

증권가의 어두운 전망, 매도세는 계속될까?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증시 상승 모멘텀 부재를 이유로 외국인의 매도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로 인한 경제 불확실성 증가를 그 이유로 꼽았습니다. 또한, 원/달러 환율 상승세 역시 외국인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핵심만 콕!
외국인의 역대급 순매도 폭탄으로 한국 증시가 휘청이고 있습니다. AI 거품론, 고점 부담, 원/달러 환율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하며, 당분간 증시의 변동성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해소 여부,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엔비디아 실적 발표 등, 시장을 흔들 수 있는 주요 일정에 주목해야 합니다.

궁금증 해결! 자주 묻는 질문
Q.외국인 순매도가 이렇게 큰 이유는 무엇인가요?
A.AI 거품론, 고점 부담, 원/달러 환율 상승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작용했습니다. 특히, 그간 코스피 상승에 따른 고점 부담이 컸으며, 미국 기술주 급락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점도 매도세를 부추겼습니다.
Q.어떤 종목을 가장 많이 팔았나요?
A.SK하이닉스가 3조 7150억 원으로 가장 많이 팔렸고, 삼성전자도 1조 5030억 원 순매도되었습니다. 이들 두 종목에 전체 순매도액의 72%가 집중되었습니다.
Q.앞으로 증시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A.증권가에서는 당분간 증시 상승 모멘텀이 부재하다는 이유로,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미국 연방 정부 셧다운, 10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엔비디아 실적 발표 등, 시장을 흔들 수 있는 주요 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