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호, FA 시장 최대어로… KIA, 왜 붙잡지 못했을까?
치솟는 몸값, 아쉬움만 남는 KIA
자유계약선수(FA) 시장에 나온 내야수 박찬호(30)의 몸값이 치솟는 분위기다. ‘이게 말이 되느냐’는 반응들이 쏟아지지만 작정하는 구단이 한 군데만 있어도 몸값은 폭등하는 것이 FA 시장의 생리다. 원소속구단 KIA 역시 박찬호를 잔류시키기 위해 공력을 들이고 있지만, 공세에 버틸 수 있을지 확신하기 어렵다.

KIA, 박찬호의 성장을 지켜보다
박찬호가 리그 대표 유격수로 성장하고 FA 최대어로 부상하기까지 KIA는 인고의 세월을 보냈다. 박찬호는 2014년 데뷔 이후 대수비, 대주자로 종종 그라운드를 밟았다. 타고난 수비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타격 성적은 실망스러웠다. 2년 차가 되던 2015년 타율 0.182, 이듬해 타율 0.167을 기록했다. 2019시즌 풀타임 활약하며 타율 0.260으로 선방했지만 이듬해 0.223으로 다시 바닥을 쳤다.

반쪽짜리 평가를 딛고, 3할 타율 달성
KIA는 ‘반쪽짜리’라는 평가를 받던 박찬호를 꾸준히 주전으로 기용했고 끝내 결실을 맺었다. 2023년 박찬호는 데뷔 후 처음으로 타율 3할(0.301)을 기록했다. 2024년에는 타율을 0.307로 더 끌어올렸고 통합우승에도 기여했다.

적정 계약의 어려움과 아쉬움
KIA는 박찬호의 성장세를 지켜보면서도 비FA 다년계약을 선뜻 안기지 못했다. ‘적정 계약’을 가늠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랐을 수 있다. FA를 앞둔 다른 여러 선수를 의식했을 수도 있다. 그사이 시간이 또 지났고, 모든 게 변했다.

심우준 계약이 불러온 나비효과
지난해 말 한화가 유격수 심우준에게 4년 50억원 계약을 안기면서 FA 유격수 기준가가 크게 올랐다. 박찬호가 최대 수혜자가 될 거라는 전망은 바로 이 심우준 계약 당시부터 나왔다. KBO리그 경쟁균형세(샐러리캡) 한도가 완화되면서 더 많은 돈을 쓸 수 있는 환경도 조성됐다. 전력 보강 의지를 불태우는 구단도 때맞춰 다발적으로 나타났다.

쟁탈전의 시작, 그리고 KIA의 과제
박찬호는 올 시즌 타율 0.287로 여전히 준수한 성적을 올렸다. 그 모든 것이 합쳐진 결과가 지금의 쟁탈전 양상이다. 박찬호에게 공들인 기간이 워낙 길었던 만큼 KIA는 당장 그 공백을 메우기가 어렵다.

유격수 포지션의 중요성
유격수는 리그를 통틀어도 수준급 선수를 찾기 어려운 포지션이다. 젊은 유격수가 시장에 풀리면 경쟁이 붙을 가능성은 당연히 크다. 올해 내부 FA만 6명에 달한다는 것도 정해진 미래였다. 시장이 열리기 전 KIA 구단이 이미 교통정리를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더 힘을 받는다.

핵심만 콕!
KIA는 박찬호의 성장을 지켜보며 다년 계약을 망설였고, FA 시장에서 그의 몸값은 천정부지로 치솟았다. 유격수 포지션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KIA는 박찬호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독자들의 Q&A
Q.KIA는 왜 박찬호와 장기 계약을 맺지 못했나요?
A.KIA는 적정 계약 시기를 가늠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다른 FA 선수들을 의식한 측면도 있습니다.
Q.박찬호의 FA 시장 가치는 얼마나 높게 평가될까요?
A.심우준의 계약을 통해 유격수 몸값이 상승했고, KBO리그의 샐러리캡 완화와 구단의 전력 보강 의지가 맞물려 박찬호의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Q.KIA는 박찬호의 공백을 어떻게 메울 수 있을까요?
A.김규성, 박민 등 기존 자원이 있지만, 1군 경험이 부족하여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KIA는 유격수 포지션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