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사진 찍던 드론, 전쟁터의 '저승사자'로… 값싼 드론이 바꾼 전쟁의 양상
웨딩드론, 전쟁의 최전선으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결혼사진 촬영용으로 사용되던 드론, 일명 '웨딩드론'이 살상 무기로 개조되어 전선에 대규모 투입되고 있습니다.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민간용 드론들이 폭탄을 탑재한 채 군사 작전에 활용되는 상황이 벌어진 것입니다. 값싼 드론의 대량 투입은 전선 고착화를 심화시키고 있으며, 전쟁의 양상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드론, 군인보다 많은 전선
우크라이나군은 작전의 필수품으로 드론을 사용하며, 전선에 투입된 드론의 수가 군인 수를 넘어섰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우크라이나군의 올해 1인칭시점(FPS) 드론 생산량은 450만 대로, 이는 작년 220만 대의 두 배에 달합니다. 이러한 드론 대량 생산과 무제한 투입 작전은 전선을 더욱 고착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값싼 드론의 변신: 살상 무기로의 진화
원래 민간용으로 제작된 드론들은 폭탄을 매달아 날리는 무기로 개조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드론 대부분은 해외에서 약 275만원에 판매되는 웨딩드론을 개조한 것입니다. 이러한 드론들은 폭격용이나 자폭용으로 활용되며, 항공사진 촬영용 렌즈는 적군을 탐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플래시 조명 버튼을 누르면 수류탄이 발사되는 등, 민간용 드론의 변신은 전쟁의 양상을 더욱 비극적으로 만들고 있습니다.
전선 고착화의 주범, 드론
수백만 대의 드론이 전선을 감시하고 폭격하는 작전으로 인해 전선은 장기간 고착화되고 있습니다. 러시아군 역시 대규모 드론을 투입하면서 양측 모두 참호 밖으로 나갈 수 없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WSJ는 전선에서 19km 이내의 모든 것이 드론의 표적이 될 수 있으며, 단 한 명의 병사도 드론을 피해 전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보도했습니다.
드론, 보급과 방어의 새로운 열쇠
드론은 전선에 고립된 병사들에게 보급품을 전달하는 역할도 수행하며, 주요 방어 시설 점령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2024년부터는 야간 투시경 부착 드론인 '뱀파이어 드론'이 투입되어 탄약과 식량 등 최대 9kg의 화물을 아군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 차량형 지상 드론 역시 물자 운반과 부상병 후송에 활용되며, 드론의 활용 범위는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느려지는 진군 속도, 길어지는 전쟁
드론 공방전이 팽팽해지면서 주요 전선의 진군 속도는 매우 느려졌습니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의 하루 평균 진격 속도가 165m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1차 세계대전 당시보다도 느린 속도입니다. CSIS 선임연구원은 현대전 역사상 가장 느린 전쟁 중 하나가 되었다고 평가하며, 교착 상태로 인해 더 많은 군인들이 희생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드론 전쟁: 기술이 바꾼 전쟁의 현실
결혼사진 촬영용 드론이 살상 무기로 변모하여 전선에 투입되면서, 전쟁의 양상이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드론의 대량 투입은 전선 고착화를 심화시키고, 진군 속도를 늦추며, 막대한 인명 피해를 야기하고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이 전쟁의 양상을 어떻게 바꾸는지 보여주는 씁쓸한 현실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웨딩드론이 실제로 어떻게 개조되어 사용되나요?
A.웨딩드론은 수류탄이나 폭탄을 장착하고, 항공사진 촬영용 렌즈를 통해 적군을 감시하는 데 사용됩니다. 플래시 조명 버튼을 누르면 수류탄이 발사되는 방식으로 개조됩니다.
Q.드론이 전선 고착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A.드론은 전선을 감시하고 즉각적인 폭격을 가하여 병사들이 참호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만듭니다. 이로 인해 양측의 진군 속도가 늦어지고, 전선이 장기간 고착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Q.우크라이나 전쟁의 진전 속도가 왜 이렇게 느린가요?
A.드론 공방전으로 인해 주요 전선의 진군 속도가 매우 느려졌습니다. CSIS에 따르면, 러시아군의 하루 평균 진격 속도가 165m에 불과하며, 이는 1차 세계대전 당시보다도 느린 속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