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어, 왜 이렇게 비싸졌을까? 어획량 급증에도 가격이 오른 기묘한 현상 분석
고등어 가격 급등, 그 이유는?
흔히 '국민 생선'으로 불리는 고등어 가격이 심상치 않습니다. 어획량이 작년 대비 95%나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가격은 30% 이상 상승하는 이례적인 현상이 벌어졌습니다. 소비자들이 주로 찾는 '큰 물고기'는 줄고, 작은 고등어만 잡히는 기현상이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이 글에서는 고등어 가격 상승의 배경과 함께, 수산물 시장 전반의 변화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어획량 증가에도 가격이 오르는 이유: '크기'의 중요성
고등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우리가 흔히 먹는 크기의 고등어가 줄어든 것이 문제입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고등어 생산량은 2만 3052t으로, 작년 같은 달(1만 1849t)보다 94.5%나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올해 7월까지 누적된 중·대형 고등어의 비중은 3.6%에 불과해, 작년(17%)이나 평년(16.2%)에 비해 현저히 낮습니다. 즉,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크기의 고등어가 부족해지면서 가격이 상승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입니다.
고등어, 어디로 갔을까? 수출 증가와 소형어의 행방
소형 고등어는 국내 소비보다는 수출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해양수산부 관계자에 따르면, 한국과 달리 아프리카 등에서는 작은 고등어도 선호하며, 고등어 수출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 유통되는 고등어의 크기가 작아지고, 상대적으로 큰 고등어는 해외로 수출되면서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급 불균형이 고등어 가격 상승의 또 다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금어기 조기 가격 강세, 수산물 시장의 또 다른 변화
고등어뿐만 아니라 다른 수산물 가격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달 초까지 금어기였던 조기 역시 가격이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참조기(냉동·중 등급) 소매가는 마리당 2067원으로, 작년(1723원) 대비 20% 높고, 평년(1488원)과 비교하면 38.9% 상승했습니다. 조기는 고수온의 영향으로 어획량도 감소하고 있으며, 대형 소매업체의 할인 축소도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기 가격 상승은 금어기, 어획량 감소, 유통 구조 변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결과입니다.
명태와 오징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격
고등어, 조기와 달리 명태와 오징어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안정적인 편입니다. 명태(원양 수입 통합·대 등급) 가격은 마리당 3483원으로 작년(4250원)보다 18% 낮고, 평년(3843원) 수준도 밑돌고 있습니다. 물오징어(냉동·중품)는 마리당 4826원으로 작년(4862원)이나 평년(4704원)과 비슷한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과거엔 주로 국내 연근해에서 물오징어를 구했는데, 요즘엔 원양산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명태와 오징어 가격의 안정세는 수입, 어획량, 유통 경로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입니다.
수산물 시장, 지속적인 관심과 변화의 필요성
고등어 가격 급등 현상은 수산물 시장의 복잡한 현실을 보여줍니다. 어획량, 크기, 수출, 금어기, 유통 구조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가격 변동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은 수산물 가격 변화에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합리적인 소비를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와 관련 기관은 수산 자원 관리, 유통 구조 개선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입니다.
핵심만 콕!
고등어 어획량 증가에도 가격이 오른 이유는 '크기'와 '수출'에 있습니다. 중·대형 고등어 부족과 소형 고등어의 해외 수출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조기 가격 상승과 명태·오징어 가격 안정세는 수산물 시장의 또 다른 단면을 보여줍니다. 지속적인 관심과 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고등어 가격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요?
A.고등어 가격은 어획량, 크기, 수출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수산 자원 관리 및 유통 구조 개선 노력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시장 상황에 대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Q.소비자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요?
A.소비자들은 수산물 가격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제철 수산물을 선택하는 등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Q.정부와 관련 기관은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A.정부와 관련 기관은 수산 자원 관리, 유통 구조 개선, 수입 다변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시장 안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또한,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산물 소비를 장려하는 정책을 펼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