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러브버그, 7월 중순이면 안녕? 전문가가 밝힌 소멸 시기와 대처법

MBSNews 2025. 7. 2. 20:14
반응형

러브버그, 언제까지 우리 곁에 머물까?

최근 도심 곳곳을 괴롭히는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때문에 불편함을 호소하는 시민들이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희망적인 소식이 들려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7월 중순쯤이면 러브버그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립생물자연관 박선재 연구원은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서 이와 같은 예측을 내놓으며, 러브버그의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근거로 제시했습니다. 박 연구원은 6월 중순부터 러브버그 출현 보고가 시작되며, 성충의 수명과 발생 현황을 고려했을 때 7월 중순이면 대부분 사라질 것으로 예상했습니다장마가 러브버그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러브버그, 그들은 누구인가?

러브버그는 2015년 인천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서울 및 인근 지역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이들은 암수가 짝을 이룬 채로 이동하는 독특한 습성 때문에 '러브버그'라는 귀여운 별명을 얻었습니다. 하지만, 떼로 몰려다니는 특성 때문에 시민들에게는 불청객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러브버그는 중국 산둥반도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물류 교역 과정에서 우연히 국내로 들어온 것으로 보입니다. 러브버그는 낙엽 속 유기물을 분해하는 유익한 역할도 하지만, 대량 발생 시에는 불편함을 초래하여 시민들의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장마와 러브버그, 어떤 관계일까?

장마가 러브버그 개체 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은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박 연구원은 러브버그가 비행 능력이 없어 비가 오면 활동이 둔해진다고 설명했습니다. 비가 오면 러브버그는 풀숲 등 숨을 수 있는 곳으로 숨어들어가기 때문에, 사람들의 눈에 띄는 빈도가 줄어듭니다. 하지만, 비가 그치면 다시 나타나 활동을 재개합니다. 장마가 끝날 무렵 러브버그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은, 장마가 러브버그의 활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러브버그, 생태계에선 어떤 존재일까?

러브버그는 생태계에서 긍정적인 역할도 수행합니다. 박 연구원은 러브버그의 유충이 낙엽을 분해하는 지렁이와 같은 역할을 하며, 성충은 꽃가루를 매개하는 등 익충의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계양산, 북한산 등 산지에서 러브버그가 많이 발견되는 이유도, 러브버그 유충이 서식하기 좋은 낙엽이 풍부한 환경이기 때문입니다. 러브버그는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지만, 대량 발생 시에는 그 균형을 깨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러브버그의 천적, 자연의 섭리

새로운 생물이 유입되면, 기존 생물들이 이를 먹이로 인식하고 잡아먹기까지 시간이 필요합니다. 처음에는 천적이 없어 개체 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조절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에는 까치, 참새, 거미류, 사마귀 등이 러브버그를 잡아먹는 모습이 관찰되고 있습니다. 이는 자연 생태계가 스스로 균형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러브버그 개체 수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브버그, 현명하게 대처하는 방법

러브버그 대발생 시기에는 생활 조명을 최소화하고, 외출 시에는 어두운 색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실내로 들어온 러브버그는 분무기로 물을 뿌린 후 휴지로 치우면 됩니다. 서울시 등 지자체는 빛을 이용해 러브버그를 특정 지역으로 유인하는 포집 장치를 개발하여 시범 운영 중이며,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시민들은 러브버그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러브버그, 이제 안녕을 고할 시간

전문가들은 7월 중순이면 러브버그가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하며,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있습니다. 러브버그의 생태적 특성과 대처 방법을 이해하고, 지자체의 노력을 통해 다가오는 여름을 쾌적하게 맞이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자주 묻는 질문

Q.러브버그는 왜 갑자기 많이 나타났나요?

A.러브버그는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기후 변화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개체 수가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Q.러브버그 때문에 건강에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A.러브버그 자체는 인체에 해로운 해충은 아닙니다. 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Q.러브버그를 없애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요?

A.러브버그는 빛을 좋아하므로, 야간에는 조명을 줄이고, 포집 장치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