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대표 후보, 李대통령에게 쓴소리? 엇갈린 속마음: 공개 vs 비공개
엇갈린 입장: 李대통령에게 쓴소리, 가능할까?
더불어민주당 당권 경쟁에 나선 정청래·박찬대 의원은 ‘당대표가 되면 이재명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할 수 있는가’란 질문에 미묘한 입장 차이를 보였다. 박 의원은 16일 ‘SBS 뉴스브리핑’에서 주관하는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서 “지난 5년 동안 이재명 대통령과 무수한 위험을 극복하고 이재명 정부를 세웠다.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가 원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서로의 마음을 깊게 이해한다”며 입을 뗐다. 그러면서 “그래서 저는 이재명 대통령에게 꼭 필요한 쓴소리가 있다면 과감히 말씀드릴 수 있다”면서 “다만 공개적으로 말하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대, 쓴소리의 필요성 강조
박 의원은 16일 ‘SBS 뉴스브리핑’에서 주관하는 ‘당대표 후보자 방송 토론회’에서 “지난 5년 동안 이재명 대통령과 무수한 위험을 극복하고 이재명 정부를 세웠다. 말을 하지 않아도 서로가 원하는 것을 알 수 있고, 서로의 마음을 깊게 이해한다”며 입을 뗐다.
정청래, 쓴소리 신중론
정 의원은 “쓴소리할 때는 하겠지만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의 성공을 위해서만 노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은 모든 현안을 꿰뚫고 있는 실사구형 시도자이며 일을 잘할 것”이라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이 정청래 당대표의 운명이기도 하다. 이재명 대통령과 한 몸처럼 움직이겠다”고 말했다.
협치, 두 후보의 다른 해법
두 후보는 야당과의 ‘협치’를 두고도 이견을 보였다. 정 의원은 협치를 언급하며 “협치는 합리적인 사람들과 하는 것”이라며 “불합리하게 어거지쓰고 발목잡는 것은 강력하게 표결처리하고 돌파하도록 하겠다”고 역설했다.
정청래, 협치 방식 제시
정 의원은 협치를 언급하며 “협치는 합리적인 사람들과 하는 것”이라며 “불합리하게 어거지쓰고 발목잡는 것은 강력하게 표결처리하고 돌파하도록 하겠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협치와 안정, 통합과 같은 미사여구는 대통령이 쓸 단어이고 당은 궂은 일과 험한 일을 해야 한다”며 박 의원에게 “협치 당대표가 되겠다고 했는데 이번 전당대회 과정에서 저랑 가장 큰 차이나는 부분인 것 같다”고 말했다.
박찬대, 협치와 타협의 조건
이에 박 의원은 “협치를 포기할 수 없다고 했지 ‘협치 당대표’가 되겠다고 하지는 않았다”며 “야당과의 협치를 포기하지 않고 인내해야겠지만 그들이 사과와 반성을 먼저 해야 하지 않겠나”고 반문했다. 이어 “타협도 거래도 정의의 결과여야 한다”며 “협치를 추구하지만 거래는 단호하게 끊어내겠다”고 덧붙였다.
핵심 정리: 민주당 당대표 후보들의 李대통령, 협치에 대한 입장 차이
이번 토론회를 통해 민주당 당대표 후보들의 이재명 대통령에 대한 쓴소리 가능성과 야당과의 협치 방법에 대한 엇갈린 시각이 드러났다. 박찬대 의원은 쓴소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비공개적인 소통을, 정청래 의원은 대통령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며 쓴소리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또한, 협치 방식에 있어서도 정청래 의원은 돌파를, 박찬대 의원은 인내와 정의로운 타협을 강조했다.
자주 묻는 질문
Q.두 후보는 李대통령에게 어떤 방식으로 쓴소리를 할 것인가요?
A.박찬대 의원은 필요하다면 과감하게 쓴소리를 하되, 공개적인 방식이 아닌 비공개적인 소통을 택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반면, 정청래 의원은 李대통령과 정부의 성공을 위해 노력하며 쓴소리에 신중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Q.두 후보가 생각하는 '협치'는 무엇인가요?
A.정청래 의원은 합리적인 야당과의 협치를 강조하며, 불합리한 행위에 대해서는 강력하게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박찬대 의원은 야당과의 협치를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정의로운 타협을 추구하며, 사과와 반성을 전제 조건으로 제시했습니다.
Q.이번 토론회에서 가장 중요한 쟁점은 무엇이었나요?
A.이번 토론회에서는 李대통령에게 쓴소리를 할 수 있는지, 그리고 야당과의 협치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에 대한 두 후보의 상반된 입장이 주요 쟁점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