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무원, 비키니 그리고 댄스… 저가항공, 위험한 유혹에 빠지다
하늘 위, 아찔한 유혹의 손길
말레이시아 저가항공사 에어아시아가 자체 걸그룹을 앞세운 기내 퍼포먼스로 화제와 논란을 동시에 일으키고 있다. 최근 틱톡에 공개된 영상에는 에어아시아 여성 승무원들이 태국 방콕과 푸켓을 오가는 노선의 운항 도중 기내 복도에서 댄스 공연을 펼치는 모습이 담겼다. 승객들은 휴대폰을 들고 촬영에 나섰다.
엇갈린 시선: 마케팅 vs 성 상품화
반응은 극명하게 갈렸다. “승무원의 본업은 안전과 서비스”라는 비판과 “성 상품화 논란”이라는 지적이 쏟아진 반면, “참신한 마케팅”이라며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이처럼 승객들은 휴대폰을 들고 촬영에 나섰지만, 승무원의 본업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도 제기되었다.
비엣젯, 파격 마케팅의 그림자
에어아시아의 기내 퍼포먼스가 화제가 되면서 더 파격적인 마케팅을 펼쳐온 베트남 저가항공사 비엣젯항공의 행보가 재조명받고 있다. 비엣젯항공은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기내 비키니 쇼로 이름을 떨쳤다. 여성 CEO 응우옌 티 프엉 타오의 주도하에 벌인 이 ‘공격적 마케팅’은 베트남 전체 항공 시장 점유율을 38%까지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됐다.
안전을 위협하는 과도한 마케팅
하지만 베트남 민항청은 “안전운항 위협” 사유로 벌금 200만원을 부과했다. 2018년에는 유명 모델들이 기내와 활주로에서 비키니 차림으로 포즈를 취한 달력까지 제작해 논란을 증폭시켰다. 비엣젯 측은 “섹시한 모델을 고객들이 좋아한다”며 “고품질 서비스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성 상품화 비판은 계속됐다.
저가항공의 딜레마: 안전 vs 자극
태국의 노크에어는 자사 브랜드 색상을 강조한다며 비키니 차림의 모델을 내세운 광고를 찍어 현지에서 “국가 이미지를 훼손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러시아 저가항공 아비아노바 역시 승무원들이 비키니를 입고 항공기를 세차하는 장면을 담은 광고로 논란을 일으켰다. 단기적으로는 화제성을 얻었지만, 장기적으로는 “저가항공이 서비스 경쟁 대신 자극적 마케팅에 의존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
승무원의 본질, 안전을 잊지 마세요
항공업계에서 승무원의 본질적 역할은 어디까지나 ‘안전요원’이다. 기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기압 저하, 비상 착륙 등 돌발 상황에 대비해 전문 훈련을 받은 이들이 바로 승무원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승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화려한 이벤트가 아니라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이라고 지적한다.
결론: 위험한 유혹, 안전을 최우선으로
저가항공사들의 파격적인 마케팅은 단기적인 이목을 끌 수 있지만, 안전을 소홀히 한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승객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을 원하며, 승무원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본질적인 역할에 집중해야 한다.
자주 묻는 질문
Q.저가항공사들의 마케팅, 왜 논란이 되는 걸까요?
A.저가항공사들은 비용 절감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을 시도하지만, 안전을 소홀히 하거나 성 상품화 논란에 휩싸이는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습니다.
Q.승무원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A.승무원은 기내 안전을 책임지는 안전 요원입니다. 비상 상황 발생 시 승객의 안전을 보호하고, 편안한 비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Q.승객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A.승객들은 안전하고 편안한 비행 경험을 원합니다. 화려한 이벤트보다는 안전과 서비스에 집중하는 항공사를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