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부, 文정부 고점 '돌파'…한강벨트, 규제에도 아파트값 상승세
서울 아파트값, 이정부 출범 후 '고점' 돌파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문재인 정부(2017~2022년) 당시 고점을 뛰어넘는 지역들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을 시작으로 수도권 핵심지, 일부 지방 중소도시까지 집값이 정점을 갈아치우는 흐름이 확산하고 있습니다.
한강벨트, 문 정부 고점 '돌파' 주도
한강벨트 대부분이 문재인 정부 당시 아파트값 고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9일 한국부동산원의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11개 자치구가 문 정부 시절 고점을 모두 넘어섰습니다. 강남·서초·송파·용산·성동·마포·광진·양천·강동·영등포·동작구 등입니다.
주요 지역별 상승률 분석
구별로 보면 성동구가 문재인 정부 시기인 2022년 1월 고점(93.88)에서 올해 9월 5주차 110.26으로 뛰며 17.45% 상승했습니다. 송파구도 2022년 1월 고점(93.99)에서 현재 109.70으로 올라 16.71% 뛰었습니다. 서초구는 2022년 8월 고점(91.56)에서 107.66으로 17.58% 올랐고, 강남구도 2022년 6월 고점(94.04) 대비 107.05로 13.83% 상승했습니다.
수도권 및 지방, 고점 돌파 지역 확산
경기도에서는 과천과 성남시 분당구가 고점을 돌파했습니다. 과천은 2022년 1월 102.17에서 올해 9월 5주차 108.92로 6.61% 올랐고, 성남 분당구는 102.96(2022년 6월)에서 109.47로 6.32% 상승했습니다.
지방 중소도시, 두 자릿수 상승률 기록
지방에서 고점을 돌파한 지역은 총 8곳입니다. 경북 상주가 2021년 12월 고점 85.41에서 올해 103.10으로 20.71% 뛰며 전국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영주(90.35→102.61, +13.57%), 문경(92.73→103.74, +11.87%)도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전문가 분석: 규제 가능성과 지방 시장 전망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 리서치랩장은 "최근 신고가 비중이 높은 자치구는 성동·광진·강동·마포 등으로, 수요자 심리가 한강 벨트 중심으로 몰리는 양상"이라며 "한강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과열 양상이 짙어지며 향후 추가 규제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핵심 요약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일부 지방에서 아파트값이 문재인 정부 당시 고점을 넘어섰습니다. 특히 한강벨트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지방 중소도시에서도 공급 부족을 배경으로 집값 상승이 나타났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강벨트 과열에 따른 규제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방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서울 아파트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요?
A.한강벨트를 중심으로 한 수요 쏠림 현상과,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Q.지방 집값 상승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A.공급 부족이 주요 원인이며, 철도 개통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세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Q.앞으로 부동산 시장 전망은 어떻게 예상되나요?
A.전문가들은 한강벨트 지역의 규제 가능성을 언급하며, 지방 시장의 경우 정책적 지원 여부에 따라 상승세 지속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