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돌아온 에볼라, 민주콩고 덮치다: 치사율 90%의 공포
에볼라, 4년 만에 민주콩고를 다시 위협하다
2010년대 중반 서부 아프리카에서 1만 1000여명의 사망자를 낳았던 에볼라가 4년 만에 콩고민주공화국(민주콩고)에서 발병하며, 전 세계가 긴장하고 있습니다. 보름 사이 사망자가 2배로 급증하면서, 보건 당국은 비상 체제에 돌입했습니다. 에볼라는 단순한 질병을 넘어,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확산되는 공포: 사망자 급증과 심각한 치사율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민주콩고에서 에볼라 발병을 선언한 지 2주가 지났다”면서 “지금까지 48건의 확진 및 의심 사례가 보고됐고 31명이 숨졌다”고 밝혔습니다. 지난달 4일 에볼라 발병을 선언했을 당시 15명의 사망자가 보고되었는데, 불과 2주 만에 사망자가 두 배로 증가한 것입니다. 특히 이번에 발병한 에볼라 바이러스는 치사율이 90%에 달하는 자이르형으로 확인되어, 더욱 우려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감염 경로와 증상: 에볼라 바이러스의 위험성
에볼라 바이러스는 과일박쥐와 유인원 등이 숙주로 추정되며, 감염된 동물의 혈액, 분비물, 체액 등과의 접촉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됩니다. 감염 시 잠복기를 거쳐 두통,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피부 발진이 심해지고 피부가 벗겨지며 출혈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환자를 극심한 고통으로 몰아넣으며, 생명을 위협합니다. 2013~2016년 서부 아프리카에서 유행했던 에볼라 자이르 변이로 인해 1만 1000여명이 사망한 사례는 에볼라의 위험성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현재 상황과 대응: 치료와 예방을 위한 노력
WHO 관계자는 “현지에 설립된 에볼라 치료 센터에서 16명이 치료를 받고 있으며, 14명이 항체 치료제를 투여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900명 이상의 접촉자를 추적하며 추가 감염을 막기 위한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WHO 아프리카 지역 사무소는 “에볼라 발병에 대한 대응이 속도를 내고 있고 통제 조치가 확대됐다”고 밝혔습니다. 바이러스의 신속한 발견, 조기 치료, 접촉자 추적 등 다각적인 노력을 통해 에볼라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과거 발병 사례와 교훈: 반복되는 에볼라의 위협
1976년 민주콩고에서 처음 발견된 에볼라는 이후 여러 차례 발병하며 인류를 위협해 왔습니다. 2018~2020년에도 민주콩고에서 2000여명이 숨졌으며, 2022년에도 재차 발병하여 6명이 사망했습니다. 이러한 반복되는 발병은 에볼라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임을 보여줍니다. 과거의 사례를 통해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에볼라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가 필요합니다.
에볼라 재발: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
4년 만에 민주콩고에서 발병한 에볼라는, 높은 치사율과 빠른 확산 속도로 인해 전 세계적인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보건 당국의 신속한 대응과 더불어, 에볼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예방 노력이 필요합니다. 과거의 사례를 통해 에볼라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더 이상의 희생을 막아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에볼라 바이러스는 어떻게 전염되나요?
A.에볼라 바이러스는 감염된 동물의 혈액, 분비물, 체액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전염됩니다.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오염된 물건 사용 등도 감염 경로가 될 수 있습니다.
Q.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이 나타나나요?
A.에볼라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두통,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피부 발진과 출혈이 발생합니다. 심한 경우 다발성 장기 부전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Q.에볼라 바이러스의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A.현재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특정한 치료제는 없지만, 항체 치료제 투여와 대증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생존율을 높이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백신 개발도 진행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