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주기 앞둔 전두환, 연희동 자택 안장 검토… '마지막' 선택은?
국립묘지 안장 불가, 4년째 장지 난항
전두환 씨의 사망 4주기를 앞두고 그의 유해를 어디에 안치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내란죄 확정으로 국립묘지 안장이 불가능해지면서, 유족들은 4년째 장지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생전 북녘땅이 보이는 곳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밝혔지만,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했습니다. 2023년 파주에 안장을 추진했으나 지역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현재 유해는 임시로 안치된 상태입니다.
연희동 자택 봉안 검토: 생전 머물던 곳으로
유족들은 오는 11월 4주기를 맞아 서울 연희동 자택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전 씨 측 관계자는 YTN 취재진에게 아직 봉안을 결정한 것은 아니라고 밝혔지만, 연희동 자택 마당에 유해를 봉안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는 끝내 몸 누일 자리를 찾지 못하고 생전 머물던 곳에 묻힐 가능성이 커졌음을 시사합니다.
파주 안장 무산 배경: 지역 여론과 토지 계약
유족들은 2023년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경기 파주시 문산읍에 장지를 정하고 토지 계약까지 마쳤습니다. 하지만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지역 여론이 악화되었고, 결국 땅 주인이 마음을 바꾸면서 안장 계획은 무산되었습니다. 이는 고인의 안장 문제를 둘러싼 사회적 갈등과 복잡한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연희동 자택의 소유와 비자금 환수 소송
연희동 자택은 전두환 씨가 사망한 후 부인 이순자 씨와 가족들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전 씨가 비자금 추징을 피하기 위해 자택 명의를 부인과 가족에게 돌렸다고 보고 환수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2월 1심에서 각하 처분을 받았고, 오는 11월 20일 항소심 선고를 앞두고 있습니다. 이 사건은 고인의 사후에도 끊이지 않는 논란을 보여줍니다.
안장 문제의 딜레마: 역사적 평가와 사회적 합의
전두환 씨의 안장 문제는 그의 역사적 평가와 사회적 합의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딜레마를 안겨줍니다. 내란죄로 인한 국립묘지 안장 불가, 유족의 바람, 지역 사회의 반대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최종 결정에 이르기까지 많은 난관이 예상됩니다. 그의 안장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우리 사회가 과거를 어떻게 기억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핵심 요약: 전두환 4주기, 연희동 자택 안장 가능성
전두환 씨의 사망 4주기를 앞두고, 유해 안치 문제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국립묘지 안장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유족들은 연희동 자택 안장을 검토 중이며, 파주 안장 시도는 지역 여론 반대로 무산되었습니다. 비자금 환수 소송과 더불어, 그의 안장 문제는 여전히 사회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전두환 씨는 왜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나요?
A.전두환 씨는 내란죄로 형을 확정받았기 때문에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습니다.
Q.유족들이 파주에 안장을 추진했던 이유는 무엇인가요?
A.전두환 씨가 생전에 북녘땅이 보이는 곳에 묻히고 싶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입니다.
Q.연희동 자택 안장이 최종 결정된다면, 어떤 의미를 갖나요?
A.끝내 적절한 장소를 찾지 못하고 생전 머물던 곳에 묻히는 것으로, 그의 사후에도 논란이 지속됨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