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500만원 소송: 휴게시간 보장 안 되면 연장근로수당, 건설현장 '쪼개기 휴식'에 경고

le1230 2025. 10. 4. 11:14
반응형

법정 휴게시간의 중요성: 건설 현장 판례를 통해 알아보는 노동자의 권리

근무 중간중간 주어지는 짧은 휴식 시간, 과연 법적으로 '휴게시간'으로 인정될 수 있을까요? 최근 법원에서 건설 현장 일용직 근로자들의 연장근로수당 청구 소송에서 의미 있는 판결이 나왔습니다. 5~10분씩 쪼개져 제공된 휴식 시간은 온전히 보장된 휴게 시간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판결은 건설업계를 넘어, 쪼개진 휴게 시간 제공 관행에 경종을 울리며, 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다시 한번 상기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사건의 발단: 20분 휴식, 10분 담배·커피 타임, 그리고 500만원 소송

사건의 시작은 건설 현장 일용직 근로자 A와 B가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임금 소송이었습니다. 근로계약서상 점심시간 외에 오전, 오후 각각 30분씩의 휴게시간이 주어졌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20분만 휴식이 주어졌고, 나머지 10분은 담배나 커피를 마시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A는 559만원, B는 563만원의 연장근로수당을 청구하며, 온전히 보장되지 않은 휴게시간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요구했습니다.

 

 

 

 

회사의 주장과 법원의 판단: 휴게시간의 정의와 판단 기준

회사 측은 5~10분씩의 커피, 흡연 시간을 휴게시간으로 주장하며, 근로기준법 위반 혐의에 대해 무죄를 받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민사 법원은 근로자 측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재판부는 '휴게시간'을 '근로시간 도중에 사용자의 지휘·감독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근로자가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는 시간'으로 정의했습니다이 정의를 바탕으로, 쪼개진 휴식 시간은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되지 않아 휴게로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포괄임금제의 한계: 연장근로수당 지급 의무

회사 측은 '포괄임금제'를 이유로 연장근로수당 지급 의무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법원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포괄임금제에 포함된 연장근로수당은 하루 8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를 전제로 하며, 휴게시간 미보장으로 인한 추가 근로까지 포괄한다고 볼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는 포괄임금제의 적용 범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며, 노동자의 권익 보호에 기여하는 판결입니다.

 

 

 

 

전문가의 시각: 쪼개진 휴식 관행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이번 판결은 건설업계를 넘어, 쪼개진 휴게시간 제공 관행에 경고등을 켰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김상민 변호사는 “보장성과 연속성이 결여된 ‘쪼개진 5~10분의 휴식'은 법정 휴게시간을 대체할 수 없다”고 강조하며, 휴게시간을 과도하게 분할하는 사업장은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노동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근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핵심만 콕!

건설 현장 휴게시간 관련 소송에서 법원이 '쪼개진 휴식'을 휴게 시간으로 인정하지 않아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라고 판결했습니다. 이는 휴게시간의 정의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쪼개기 휴식 관행에 경종을 울리는 판례입니다. 노동자의 권익 보호와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휴게시간은 얼마나 보장되어야 하나요?

A.휴게시간은 근로자가 사용자의 지휘·감독에서 완전히 벗어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생리 현상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시간 외에, 충분한 휴식과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보장되어야 합니다.

 

Q.포괄임금제 하에서도 연장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나요?

A.네, 포괄임금제는 8시간을 초과하는 연장근로에 대한 수당을 포함하는 것이므로, 휴게시간 미보장으로 인한 추가 근로에 대해서는 별도의 연장근로수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쪼개진 휴게시간,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A.쪼개진 휴게시간으로 인해 온전한 휴식을 취하지 못했다면, 연장근로수당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 환경 개선을 위해 사업주에게 휴게시간 보장을 요구하고, 관련 법규를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