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금감원 몸집 키우기 논란: 조직 개편 틈새, 정치권의 비판 직면

le1230 2025. 7. 12. 14:08

금융감독 체계 개편 논의 배경

이재명 정부의 정부 조직개편 대상 중 하나로 금융정책감독 체계가 거론되는 상황에서, 개편 대상 기관인 금융감독원이 몸집을 대폭 키우는 안을 마련하여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금감원의 핵심 구상: 세 가지 주요 내용

금감원의 구상은 크게 세 가지로,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감독 기능을 분리하고, 금융감독 기능은 금감원 중심으로 일원화하는 게 골자입니다아울러, 분리가 거론되는 금융소비자보호 기능은 금감원 내 ‘준독립기구’화한다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감독기구 일원화: 금감원의 주장과 배경

금감원은 ‘감독기구 일원화’를 주장하며, 금감위에는 합의기구와 최소한의 사무처만 두고, 감독규정 개정 등 실무는 금감원에 두는 방향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현재 정책(금융위)-집행(금감원)의 이원화 구조에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입니다.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의 향방: 금소처 강화 제안

금감원은 금융소비자 보호 업무와 관련하여,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 대신 현재의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강화하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금소처장을 대통령이 직접 임명하는 자리로 격상시키고, 조직은 금감원 내에 두겠다는 입장입니다.

 

 

 

 

정치권의 비판: 금감원의 기능 확대 시도

정치권에서는 집행기관인 금감원이 몸집 불리기에 나섰다는 지적이 제기되었습니다금감원이 금융위 기능까지 흡수하려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냈다는 비판과 함께, '수술 대상이 외려 메스를 들고 다니는 꼴'이라는 강도 높은 비판이 나왔습니다.

 

 

 

 

금감원의 성격과 역할

금감원은 엄밀히 말하면 민간조직이나, '반민반관(半民半官)'의 성격을 가진 무자본 특수법인입니다. 금융위의 위임을 받아 금융회사에 대한 감독·검사 및 제재 등 집행 업무를 수행합니다.

 

 

 

 

핵심 내용 요약: 금감원 조직 개편 논란의 본질

금융감독원 조직 개편 논의를 틈타 금감원이 몸집을 키우려는 시도가 정치권의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금융감독 기능의 일원화,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의 유지, 그리고 금융위 기능의 흡수를 시도하며 권한 확대를 꾀하는 금감원의 행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금감원이 조직 개편을 통해 얻으려는 것은 무엇인가요?

A.금감원은 금융감독 기능의 일원화를 통해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금융위의 감독 정책 기능까지 흡수하여 권한을 확대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Q.정치권에서 금감원의 행보를 비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정치권은 집행기관인 금감원이 몸집을 키우려는 시도를 비판하며, 금감원의 과도한 권한 확대를 경계하고 있습니다.

 

Q.금감원은 어떤 성격을 가진 기관인가요?

A.금감원은 민간조직과 공공기관의 성격을 모두 가진 '반민반관'의 무자본 특수법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