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업계의 변곡점: 새로운 수익 모델을 향한 모색
게임 업계가 '페이 투 윈(pay to win, 이기기 위해 돈을 지불해야 하는 구조)'이나 확률형 아이템 구입을 유도하는 방식에서 벗어난 새로운 수익 모델을 모색하고 있다. 기존 과금 방식은 이용자의 피로도가 높아 장기적인 수익 창출이 어렵고 각종 규제까지 겹치며 변화가 불가피해졌다는 분석이다. 넥슨의 '마비노기 모바일'은 이러한 변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기존 MMORPG(대규모온라인역할수행게임)와는 다른 접근 방식을 통해 성공을 거두고 있다.
마비노기 모바일의 성공 전략: 성장 중심의 게임 구조
넥슨이 올해 선보인 '마비노기 모바일'은 MMORPG(대규모온라인역할수행게임)의 기존 수익 모델에서 벗어나 성공을 거둔 대표적인 사례다. 기존 MMORPG는 PvP(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대결) 중심의 구조가 많았지만 마비노기 모바일은 캐릭터의 성장을 중점에 뒀다. 따라서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 반드시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필요가 없다. 의상이나 염색 등 꾸미기 아이템이 주된 과금 요소다. 캐릭터의 능력치를 높여주는 의상 아이템도 있지만 과금 이용자와 무과금 이용자의 격차를 크게 벌리는 수준은 아니다. 이와 함께 멤버십 기능과 같은 선택적 과금 요소를 통해 수익을 꾀하고 있다. 유료 멤버십을 구매하면 아이템 보유 수량을 늘려주거나 게임에 필요한 아이템을 추가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구독형 멤버십과 배틀패스: 게임 수익 모델의 새로운 패러다임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작들도 유사한 기조를 보이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오는 11월 출시하는 '아이온2'에서 경쟁적 과금 모델을 배제했다고 강조했다. 아이온2는 멤버십과 배틀패스를 핵심 수익 모델로 삼았다. 각각 월 2만~3만원 내의 구독형 상품으로 출시된다. 멤버십은 이용자의 원활한 게임 플레이를 돕는다. 예를 들어 일반 이용자들이 거래소에서 아이템을 동시에 3개만 판매할 수 있다면 멤버십 구매자에게 5개 이상의 물건을 팔 수 있는 권한을 제공한다. 프리미엄 배틀패스도 마찬가지다. 일정 레벨에 도달하면 제공되는 보상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다. 예를 들어 일반 이용자에게는 일반 포션(체력 회복 아이템) 5개만 제공되지만 프리엄 배틀패스 이용자에게는 고급 포션 3개가 추가로 지급되는 식이다.
지속 가능한 게임 생태계를 위한 노력: 사용자 중심의 접근
엔씨소프트 측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택했다고 밝혔다. 과금형 모델의 피로감을 낮추고 사용자 접근성을 확대한다는 설명이다. 엔씨소프트 관계자는 "소비자의 문턱을 낮추고 부담없는 플레이 환경을 구축해 장기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IP(지식재산권)를 구축하고자 확률형 뽑기 등 과금 유도형 모델에서 벗어난 새로운 수익모델에 집중했다"고 전했다.
확률형 아이템의 대안: '천장' 시스템의 진화
드림에이지가 이달 22일 선보이는 MMORPG 신작 아키텍트도 마찬가지다. 아키텍트는 '천장 보조 확률 업 시스템'을 도입한다. 게임에서 '천장' 시스템은 일정 횟수 이상 뽑기를 시도하면 아이템을 제공하는 일종의 상한선을 말한다. 아키텍트가 새롭게 선보이는 시스템은 천장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했다. 기존 천장 시스템은 1회차나 99회차나 당첨 확률이 동일했지만 아키텍트가 도입한 방식은 시도할수록 확률이 점차 올라간다. 1번보다 10번, 20번이 될수록 원하는 아이템을 얻을 가능성이 커지는 구조다. 확률형 방식에서 벗어난 건 아니지만 불확실성을 줄여 소비자의 피로도를 낮추고자 했다.
규제와 변화의 바람: 게임 업계의 미래
게임사들이 확률형 아이템이라는 기존의 수익모델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는 건 규제와도 관련이 깊다. 현재 게임 아이템 등장 확률을 조작하면 게임사에 징벌적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게임산업진흥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국회에선 확률형 아이템을 조합해 새로운 아이템을 얻는 '컴플리트 가챠(완성형 뽑기)'도 금지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핵심만 콕!
게임 업계가 과도한 과금 모델에서 벗어나 구독형 멤버십, 배틀패스, 그리고 진화된 '천장' 시스템 등 새로운 수익 모델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규제 강화와 사용자 피로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장기적인 게임 서비스와 사용자 중심의 생태계를 구축하려는 노력의 일환입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새로운 수익 모델은 게임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A.새로운 수익 모델은 사용자들의 과금 부담을 줄이고, 게임의 접근성을 높여 더 많은 유저를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적인 게임 서비스와 IP 가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Q.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게임 업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까요?
A.확률형 아이템 규제는 게임사들이 더욱 창의적인 수익 모델을 개발하도록 유도할 것입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게임 디자인과 서비스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며, 게임 업계의 경쟁 환경을 변화시킬 것입니다.
Q.게임 업계의 변화, 긍정적인 전망을 할 수 있을까요?
A.네, 긍정적인 전망을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의 피로도를 낮추고, 게임의 재미를 더욱 강조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는 게임 업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가능하게 할 것입니다. 또한, 게임의 IP 가치를 높이고,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기념관, 흔들리는 수장: 김형석 관장 사퇴 요구와 뉴라이트 청산 촉구 (0) | 2025.10.07 |
---|---|
2억 투자, 102억 수익? 영화 '얼굴'의 놀라운 흥행 성공 분석 (0) | 2025.10.07 |
김동성의 '씁쓸한 현실': 올림픽 금메달 연금 박탈, 그리고 건설 현장 일용직 (0) | 2025.10.07 |
테슬라, 로봇 노동자의 시대를 열다: 전기차 넘어 휴머노이드로 향하는 거대한 도약 (0) | 2025.10.07 |
검찰 개혁 논란 속 임은정 지검장의 플래시 게임 배포… 검찰 내부 반발 확산 (0) | 2025.10.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