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동해안 해변을 수놓은 857만 명의 발걸음
피서의 절정을 향해 달려가는 여름, 강원 동해안 해수욕장이 뜨겁게 타올랐습니다. 강원특별자치도에 따르면, 올여름 동해안 6개 시군 해수욕장에는 총 857만 7,359명이 방문하며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무려 87만 3,569명이 더 찾아왔습니다. 이 수치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더욱 뜨거워진 여행 및 여가 활동에 대한 갈증을 보여주는 동시에, 동해안 해변이 가진 매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결과입니다.
폐장을 앞두고 더욱 붐비는 동해안, 마지막 여름을 만끽하다
6월 20일 개장을 시작으로, 동해안 해수욕장은 17일 강릉, 동해, 삼척 해수욕장을 시작으로 31일까지 순차적으로 폐장합니다. 아쉬움을 뒤로하고, 마지막 여름을 즐기려는 방문객들의 발걸음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절기상 더위가 꺾인다는 처서인 날에도 양양 3만 3,756명, 속초 2만 8,157명, 고성 7,450명 등 총 6만 9,363명이 동해안을 찾아, 막바지 여름의 열기를 만끽했습니다. 폐장한 해수욕장에서도 물놀이를 즐기는 피서객들의 모습은, 여름의 마지막 순간을 놓치고 싶지 않은 간절함을 보여주는 듯했습니다.
각 도시별 방문객 증가율, 강릉시가 압도적인 1위
동해안 6개 시군 모두 지난해보다 방문객 수가 증가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강릉시가 20.8%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하며, 동해안 해변의 인기를 실감케 했습니다. 동해시(13.6%), 속초시(9.2%), 삼척시(8.4%), 양양군(6.5%), 고성군(2.6%) 등 다른 지역 또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며, 동해안 전체가 활기찬 여름을 보냈음을 보여줍니다. 각 도시의 매력과 특색이 조화를 이루며, 더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잊지 못할 추억, 안전이 최우선입니다
피서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동안, 안전사고 또한 발생했습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정선군 임계면에서 60대 등산객이 다리를 다치는 사고가 있었으며, 인제군 서화면 대암산 정상 인근에서는 50대 등산객이 하산 중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즐거운 추억을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위험한 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안전한 여름을 위해, 각별한 주의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마무리하며: 뜨거웠던 여름, 그리고 잊지 못할 기억
올여름, 동해안 해변은 857만 명이 넘는 방문객들로 북적이며,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했습니다. 폐장을 앞두고 마지막 열기를 불태우는 모습은, 다가올 가을에 대한 아쉬움과 함께 또 다른 설렘을 안겨줍니다. 안전을 최우선으로, 내년 여름에도 더욱 풍성하고 즐거운 동해안 해변을 기대하며, 이 뜨거웠던 여름의 기억을 소중히 간직합시다.
핵심만 콕! 동해안 해변, 857만 명의 발걸음과 함께한 뜨거운 여름
올여름 동해안 해변은 857만 명이 넘는 방문객을 맞이하며, 뜨거운 여름을 보냈습니다. 폐장을 앞두고 마지막까지 열기를 뿜어내는 해변의 모습은, 안전과 함께 잊지 못할 추억을 선사했습니다. 내년 여름, 더욱 풍성하고 즐거운 동해안 해변을 기대하며, 올여름의 기억을 소중히 간직합시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올해 동해안 해변 방문객 수는 얼마나 증가했나요?
A.올해 동해안 해변 방문객 수는 지난해보다 87만 3,569명 증가했습니다.
Q.어떤 지역의 방문객 증가율이 가장 높았나요?
A.강릉시가 20.8%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Q.해수욕장 폐장일은 언제인가요?
A.동해안 해수욕장은 31일까지 순차적으로 폐장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 한미 정상회담과 '트럼프 청구서' 그리고 한일 관계의 미래 (1) | 2025.08.24 |
---|---|
공무직, 공무원과 '동일노동 동일임금' 쟁점: 공정성 논란과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 (0) | 2025.08.24 |
한일, '협력'의 닻을 올리다: 격동의 시대, 굳건한 동반자 관계 구축 (0) | 2025.08.24 |
충격! '4·7세 고시' 전면 금지… 유아 영어유치원 입학 전쟁, 이제는 안녕? (1) | 2025.08.23 |
고액 연봉 금융 노조, 주 4.5일제 관철 위한 총파업 예고…'과도한 요구' vs '변화 주도' (0) | 2025.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