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코피노 아빠들, 얼굴 공개 후 양육 책임 외면하던 그들이 나타났다

View Today 2025. 11. 3. 18:52
반응형

버려진 아이들, 그리고 침묵을 깬 아버지들

한국 남성과 필리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코피노' 자녀를 버리고 연락을 끊었던 아빠들이 시민단체의 SNS를 통해 얼굴이 공개되자 속속 연락을 취하고 있습니다. 시민단체 ‘양육비를 해결하는 사람들’(전 배드파더스) 활동가 구본창씨가 공개한 사진들은 그들의 무책임한 행동에 대한 사회적 경종을 울립니다. 이 소식은 버려진 아이들의 고통과 싱글맘들의 어려움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며, 책임감 있는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구본창 씨의 용기 있는 외침: '아빠 찾기' 프로젝트

구본창 씨는 SNS를 통해 필리핀 싱글맘들의 아빠 찾기 캠페인을 벌여왔습니다. 수년간 연락조차 차단했던 코피노 아빠들이 언론 보도와 얼굴 공개를 통해 싱글맘들에게 연락하기 시작했다는 소식은 그의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구씨는 지난달 27일에도 ‘7년 전 도망간 아이 아빠가 갑자기 연락을 해 왔다’고 밝혔습니다. 그의 용기 있는 행동은 숨어있던 아빠들에게 책임을 묻고, 아이들의 권리를 되찾아주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입니다.

 

 

 

 

얼굴 공개, 마지막 희망의 불꽃

구본창 씨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했음에도 불구하고, 코피노 아빠들의 얼굴을 다시 공개하기 시작했습니다그는 2010년, 2014년, 2018년에 태어난 자녀를 두고 한국으로 떠난 아빠들을 찾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에 태어난 어린 코피노는 병원비 부족으로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구씨는 여권번호나 한국 휴대전화 번호 없이 아이 아빠를 찾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SNS에 아빠 사진을 올리는 것이 마지막 희망이라고 토로했습니다. 이는 법적 문제보다 아이들의 생존과 건강이 더 중요하다는 그의 절박한 심정을 보여줍니다.

 

 

 

 

숨겨진 진실: 평양을 거주지로 속인 아버지

구본창 씨는 아이 아빠를 찾기 위해 겪는 어려움을 토로하며, 그들이 동거 시 여권번호나 휴대전화 번호를 의도적으로 감춘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심지어 자신의 거주지를 북한 평양이라고 속인 사례도 있었습니다. 이러한 행위들은 아버지들이 책임을 회피하려는 의도를 보여주며, 아이들과 싱글맘들을 더욱 고통스럽게 만듭니다. 구씨는 이러한 진실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배드파더스, 그리고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구씨는 2018년부터 배드파더스를 운영하며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는 부모의 신상을 공개해왔습니다. 그는 정보통신망법상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지만, 지난해 1월 벌금 100만원의 선고유예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의 활동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사회적 약자를 위한 그의 헌신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합니다. 그의 노력은 양육비 미지급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고, 아버지들의 책임을 강조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결론: 아이들의 웃음을 되찾기 위한 노력

코피노 아빠들의 얼굴 공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과제를 제시합니다구본창 씨를 비롯한 많은 사람들의 노력으로, 버려진 아이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 사건은 우리 사회가 약자를 보호하고, 책임 있는 행동을 실천해야 함을 일깨워줍니다.

 

 

 

 

핵심만 콕!

코피노 아빠들의 얼굴 공개를 통해, 그들이 버린 아이들에게 양육 책임을 다하도록 촉구하고 있습니다. 구본창 씨의 용기 있는 행동과 사회적 관심이 아이들의 웃음을 되찾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

Q.구본창 씨는 왜 코피노 아빠들의 얼굴을 공개했나요?

A.아이들에게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고 연락을 끊은 아빠들에게 책임을 묻고, 아이들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Q.구본창 씨는 어떤 어려움을 겪었나요?

A.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하고, 변호사로부터 사실적시 명예훼손 유죄 판결 가능성에 대한 조언을 받았습니다. 또한, 아이 아빠를 찾기 위한 정보 확보의 어려움도 겪었습니다.

 

Q.앞으로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A.사회적 관심과 지원, 법적·제도적 개선, 그리고 아버지들의 책임 있는 행동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