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 숨겨진 이야기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은 국가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탓에 아주 작은 변수까지 대비합니다. 이번 회담의 경우도 이 대통령의 모든 말과 행동 속에 치밀한 계산이 숨어 있었다고 하죠. 오늘 ‘뉴스 페어링’에선 오현석 기자와 긴박하게 돌아갔던 3박 6일간 미국·일본 순방 현장의 생생한 뒷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에서 확인하세요.
트럼프를 사로잡은 '칭찬 릴레이'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이 열린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이 대통령의 ‘칭찬 릴레이’가 주목받았습니다. “오벌 오피스(백악관 집무실)가 보기 좋다”는 말을 시작으로, 노벨 평화상을 받고 싶어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기분을 띄우는 칭찬이 이어졌는데요. 이 과정에서 이 대통령은 발언을 통으로 읊는 것이 아니라 문장 단위로 끊어 전달하는 방식까지 선택했습니다. 칭찬들이 켜켜이 쌓이는 이른바 빌드업(build up) 화법에 트럼프 대통령은 크게 미소를 지었죠. 이번 정상회담을 동행 취재한 오현석 중앙일보 정치부 기자는 “이 대통령이 이를 악물고 칭찬 공세에 나선 것”이라는 대통령실 참모들의 발언을 전했습니다.
정상회담을 뒤흔든 관세 협상과 북한 문제
단순한 비위 맞추기가 아니라 정상회담의 의제를 ‘관세 협상’에서 ‘북한 문제’로 틀어야 하는 절박함에서 나온 행보라는 건데요. 정상회담 하루 전,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3500억달러(약 487조원) 규모 대미 투자펀드 활용 방식을 놓고 고성이 오갈 정도로 첨예하게 대립했다고 하죠. 러트닉 장관은 ‘직접 투자에 대한 합의문’을 요구하며, 정상회담 취소 가능성까지 내비쳤다고 합니다.
트럼프의 '숙청' 발언과 현장 혼란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트럼프 대통령은 회담 3시간 전 소셜미디어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이나 혁명(a Purge or Revolution)처럼 보인다”고 썼습니다. 오 기자에 따르면, 당시 현장에 있던 실무진과 취재 기자단까지 혼란에 빠졌는데요. 이에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수지 와일즈 백악관 비서실장을 찾아가 “‘이 얘기’를 꼭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강 비서실장은 무슨 말을 전했을까요?
성공적인 회담을 위한 치밀한 준비
오늘 ‘뉴스페어링’에선 오현석 기자와 긴박하게 돌아갔던 3박 6일간 미국·일본 순방 현장의 생생한 뒷이야기를 전해드립니다. 대통령실 참모들은 성공적인 회담을 위해 치밀한 준비를 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나라 정상들을 오벌 오피스에서 ‘투명 인간’ 취급하거나, 면박을 줬던 사례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철저한 대비를 한 것이죠. 그 대비는 무엇이었을까요? 이 대통령이 준비해 간 의상도 주목할 만합니다. 오 기자는 “지난 5년 간 이 대통령을 지켜봤는데, ‘이 스타일’은 처음 봤다”라고 전했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이어집니다.
핵심 요약
한미 정상회담의 숨겨진 이야기들을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치밀한 전략과 트럼프 대통령과의 관계 형성을 위한 노력을 엿볼 수 있었습니다. 칭찬 릴레이, 관세 협상, 그리고 트럼프의 '숙청' 발언까지, 회담의 뒷이야기는 긴장감 넘치는 외교전을 보여줍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칭찬을 쏟아낸 이유는 무엇인가요?
A.관세 협상에서 북한 문제로 회담 의제를 전환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이었습니다.
Q.트럼프 대통령의 '숙청' 발언에 대한 현장 반응은 어떠했나요?
A.실무진과 취재 기자단 모두 혼란에 빠졌으며, 대통령 비서실장이 백악관 측에 해명을 요청했습니다.
Q.이번 회담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특히 신경 쓴 부분은 무엇인가요?
A.트럼프 대통령의 기분을 맞추기 위한 칭찬 릴레이와, 성공적인 회담을 위한 철저한 준비였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6.25 전쟁, 흑백 사진 속 빛나는 사랑: 한미 커플의 잊을 수 없는 이야기 (0) | 2025.09.03 |
---|---|
혐오 범죄, 관광객 폭행 사건: 징역 10개월, 우리 사회의 그림자 (0) | 2025.09.03 |
서울 관악구 칼부림 사건: 충격적인 소식, 우리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는? (0) | 2025.09.03 |
톈안문 망루, 우원식 의장과 김정은의 거리: 외교적 시사점과 숨겨진 의미 (0) | 2025.09.03 |
7년 만의 파업, 노동계 '추투'의 서막: 현대차를 넘어 금융권까지, 변화의 바람 (0) | 2025.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