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8천 원 베이글에 한 시간? 2030, '경험'을 사다: 빵 소비의 양극화

View Today 2025. 10. 23. 19:44
반응형

프리미엄 빵집, MZ세대의 발길을 사로잡다

SNS를 통해 입소문이 난 유명 빵집들은 긴 대기 시간에도 불구하고 문전성시를 이룹니다. 런던베이글, 테디뵈르하우스, 카페 레이어드 등은 주말은 물론 평일에도 30분에서 1시간 이상 기다려야 할 정도로 인기가 높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빵을 구매하는 것을 넘어, 매장 인테리어, 브랜드 감성, 독특한 메뉴 구성 등 '경험'을 소비하는 MZ세대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이들은 빵 한 조각을 통해 특별한 경험을 얻고, 이를 SNS에 공유하며 만족감을 느낍니다.

 

 

 

 

높은 가격에도 2030세대가 열광하는 이유

이들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은 일반 프랜차이즈 빵집보다 가격이 높습니다. 기본 베이글이나 크로와상은 3000~4000원 후반대에 판매되며, 말차, 피스타치오 등 유행하는 재료가 더해지면 7000~8000원 이상으로 가격이 상승합니다. 하지만 2030세대는 이러한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기꺼이 지갑을 엽니다. 그 이유는 이들이 소비의 핵심 기준으로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매장 자체가 하나의 체험 콘텐츠가 되고, SNS 인증 문화가 더해지면서 젊은 소비자들을 자연스럽게 매장으로 이끕니다.

 

 

 

 

가성비 빵의 약진: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사람들

프리미엄 빵집과 더불어, 합리적인 가격의 가성비 빵 또한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홈플러스의 베이커리 브랜드 몽블랑제가 진행한 반값 할인 행사에서 빵 판매량이 급증한 것이 이를 증명합니다. '빵플레이션' 시대에 접어들면서,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가격의 제품에 더욱 주목하고 있습니다. 편의점 PB 빵의 매출 성장 또한 가성비 빵의 인기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편의점 PB 빵의 성장세: 가성비와 접근성의 조화

편의점 PB(Private Brand) 빵은 가성비와 접근성을 모두 갖춘 매력적인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GS25의 브레디크는 꾸준한 매출 신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베이커리 매출에서 PB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CU의 PB 빵 매출 비중 또한 증가 추세입니다. PB 빵은 유통사가 직접 상품 기획부터 생산, 유통까지 관리하여 생산 단가를 낮추고, 2000원 초중반대의 합리적인 가격으로 소비자들에게 제공됩니다.

 

 

 

 

프랜차이즈 빵집의 위기: 양극화된 시장에서 살아남기

베이커리 시장의 양극화 현상은 기존 프랜차이즈 빵집의 입지를 좁히는 결과를 낳고 있습니다.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던킨 등은 프리미엄 빵집과 가성비 빵 사이에서 차별점을 찾기 어려워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23년 제과제빵 가맹점 평균 매출액이 큰 폭으로 감소했습니다. 빵 자체의 경쟁력 부족과 차별화된 맛의 부재, 그리고 유행에 대한 늦은 대응이 프랜차이즈 빵집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문가 분석: 시장 경쟁력 확보의 어려움

전문가들은 제과제빵 프랜차이즈 시장이 상품 차별성 부족과 점포 수 포화로 인해 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분석합니다. 유로모니터는 국내 외식 베이커리 시장의 규모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숙명여대 이홍주 교수는 유명 빵집의 경우 경험과 브랜드 가치를 판매하는 반면, 프랜차이즈는 점포 수 증가로 인한 고객 분산 현상이 나타나 빵만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합니다.

 

 

 

 

빵 소비, '경험'과 '가성비' 두 마리 토끼를 잡아라

결론적으로, 빵 소비 시장은 '경험'을 중시하는 MZ세대의 프리미엄 빵집 선호와 '가성비'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선택으로 양극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렌드 속에서 프랜차이즈 빵집은 차별화된 전략 마련에 고심해야 할 것입니다. 소비자들은 빵 한 조각을 통해 단순히 맛을 넘어, 특별한 경험과 가치를 얻고자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왜 8000원짜리 베이글에 사람들이 줄을 서는 걸까요?

A.MZ세대는 빵 자체의 맛뿐만 아니라, 매장 분위기, 브랜드 경험 등 '특별한 경험'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SNS를 통해 공유되고, 새로운 소비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Q.프랜차이즈 빵집의 경쟁력은 왜 약해지고 있나요?

A.프랜차이즈 빵집은 상품 차별성 부족, 점포 수 포화, 유행에 대한 늦은 대응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빵 자체의 맛 외에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는 점도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Q.앞으로 빵 소비 트렌드는 어떻게 변화할까요?

A.빵 소비는 더욱 양극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리미엄 빵집과 가성비 빵의 인기는 지속될 것이며, 소비자들은 맛과 더불어 자신만의 가치를 충족시키는 빵을 선택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