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고속버스 승차권 취소 수수료 개편, 이용자 권익 강화 및 좌석 활용도 극대화

MBSNews 2025. 3. 18. 20:18
반응형

지난 5월 1일부터 국토교통부는 고속버스 승차권 취소 수수료 기준을 개편하여 출발 직전 및 직후의 취소로 인한 노쇼 문제를 해결하고 좌석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이번 개편의 주된 내용은 취소 수수료를 요일 및 시점에 따라 차등 부과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버스 이용 문화를 조성하고자 합니다.

 

 

먼저, 현재 고속버스의 취소 수수료는 평일에 최대 10%, 출발 후에 최대 30%가 부과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 개편에 따라 주말(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과 명절 기간(설날 및 추석)에는 최대 15% 및 20%로 인상되어, 특히 승객이 많은 시기에 보다 합리적인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이로 인해 좌석 회전율이 높아지고, 실수요자들이 원활하게 티켓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입니다.

 

 

또한, 출발 전 최대 수수료 부과 시간도 기존의 1시간 미만에서 3시간 미만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승객들이 미리 상태를 체크하고 예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취소를 줄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평일에는 기존과 같은 10%의 수수료가 적용되며, 출발 후 취소 수수료는 단계적으로 상향되어 2027년까지 70%로 증가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수수료를 인상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전반적인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이 될 것입니다.

국토부는 시외버스 면허권자인 도(道)에게도 유사한 기준 개선을 권고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전국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입니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최근 고속버스 모바일 예매가 활성화되면서 이용 편의가 증가하였지만, 잦은 출발 직전 또는 직후의 예매 취소로 인해 다른 승객들이 표를 구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며 이용자들로 하여금 승차권 예약에 더욱 신경 써주길 당부하였습니다.

 

 

이번 수수료 개편이 가져올 긍정적인 변화는 단순히 취소 수수료의 변화뿐만 아니라, 고속버스 이용 문화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앞으로는 더 많은 승객들이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정책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변화가 고속버스 산업 전반에 걸쳐 신뢰를 회복하고, 승객의 만족도를 높이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