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격의 기쁨 뒤 가려진 그림자: '미지정 회계사'의 등장
공인회계사(CPA) 시험 합격, 많은 이들이 꿈을 이루는 순간입니다. 하지만 CPA 자격을 얻고도 실무 수습 기회를 얻지 못해 '미지정 회계사'로 남는 이들이 늘어나면서, 합격의 기쁨은 씁쓸함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600명 이상의 미지정 회계사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닌, 회계 업계 전체의 구조적인 문제임을 시사합니다. 회계사 선발 인원은 증가했지만, 시장의 수요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움을 자아냅니다.
빅4 회계법인 채용 축소, 공급 과잉 심화
빅4 회계법인(삼일PwC, 삼정KPMG, EY한영, 딜로이트안진)의 채용 인원이 줄어들면서, 미지정 회계사 문제는 더욱 심화될 전망입니다. 올해 빅4 회계법인의 채용 인원은 600명 안팎으로, 지난해 842명에 비해 크게 감소했습니다. 반면, 올해 2차 CPA 시험 합격 예정 인원은 1200명에 달하며, 여기에 지난해 수습 교육을 받지 못한 250명을 더하면 최소 1450명이 구직 시장에 뛰어들게 됩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회계 업계의 심각한 공급 과잉을 보여주며, 회계사들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습니다.
제도 변화와 시장 수요 불일치: 문제의 근본 원인
정부의 외부감사 강화, 내부회계관리제도 확대 등 제도 변화에 발맞춰 회계사 선발 인원이 늘어났지만, 정작 시장 수요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문제입니다. 빅4 회계법인의 신규 채용은 2022년 1340명에서 매년 감소하여 절반 가까이 줄었습니다. 수임 환경 악화와 감사보수 하향 조정 등 회계법인 내부적인 어려움 또한 채용 여력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미지정 회계사 문제를 더욱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중소 회계법인과 기업의 어려움: 수습 기회의 부족
중소 회계법인의 상황은 빅4보다 더욱 열악하며, 일반 기업과 공공기관은 수습 교육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경력직을 선호하는 경향이 뚜렷하여, 신규 회계사들이 실무 경험을 쌓을 기회를 얻기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미지정 회계사들은 실무 경험 부족으로 인해 경력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장기적으로는 회계 업계 전체의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결책 모색: 중장기 로드맵과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
전문가들은 회계사 선발 인원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중장기 로드맵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 회계법인에 합격생들의 수습 교육을 강제 배정하거나, 회계연수원 기능을 강화하는 등 다양한 해결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김범준 가톨릭대 회계학과 교수는 “회계사는 단순한 민간 자격이 아니라 공공 책임을 지는 전문직”이라며, 회계법인이 수습 교육 등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정책적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회계사들의 안정적인 경력 개발을 위한 정부와 업계의 적극적인 노력이 절실합니다.
미래를 위한 제언: 지속 가능한 회계 생태계 구축
미지정 회계사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닌, 회계 업계 전체의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문제입니다. 단기적인 해결책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회계사 선발 인원 조절, 수습 교육 시스템 개선, 회계법인 지원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회계사들이 안정적으로 경력을 쌓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건강한 회계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합니다.
핵심만 콕!
CPA 합격 후에도 '미지정 회계사'로 남는 현실, 빅4 채용 축소와 공급 과잉 심화, 제도 변화와 시장 수요 불일치, 중소 회계법인 및 기업의 어려움, 그리고 해결책 모색의 필요성까지. 지속 가능한 회계 생태계 구축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독자들의 Q&A
Q.미지정 회계사가 되면 어떤 어려움을 겪나요?
A.실무 경험 부족으로 인해 경력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취업 시장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회계사로서의 전문성을 인정받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Q.미지정 회계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가요?
A.회계사 선발 인원 조절, 회계법인 수습 교육 의무화, 회계연수원 기능 강화, 정책적 인센티브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Q.회계 업계에 종사하려면 어떤 노력을 해야 할까요?
A.CPA 자격증 취득뿐만 아니라, 실무 경험을 쌓고, 꾸준히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회계 업계의 변화에 발맞춰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남고속도로 침수: 동광주IC~서광주IC, 지금 상황은? (0) | 2025.07.17 |
---|---|
서울대 AI 인재, 韓 대기업 대신 '美 빅테크'로? 충격적인 연봉 수준 공개! (0) | 2025.07.17 |
세제 개편 신호탄? 경제 '투톱'의 법인세·에너지 정책,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를 엿보다 (0) | 2025.07.17 |
광주천 범람 위기: 절박한 순간, 시민들의 안전을 위한 대피 명령 (0) | 2025.07.17 |
재판 20분 만에 파행: 김용현 전 장관 사건, 변호인의 격렬한 반발과 재판부 회피 요구 (0) | 2025.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