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일부 3

김여정, '한국과 마주 앉을 일 없어'… 냉혹한 현실 진단과 북한의 입장

김여정 부부장의 강경 발언: 남북 관계의 새로운 국면북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28일,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녀는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공식입장을 다시금 명백히 밝힌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남북 관계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했던 이들에게는 다소 실망스러운 소식일 수 있습니다. 이번 발언은 단순히 한두 마디의 언급이 아닌, 북한의 확고한 대남 정책 기조를 드러내는 중요한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동족이라는 개념을 넘어선 조한 관계 이재명 정부에 대한 비판적 평가김 부부장은 이재명 정부를 향해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습니다. 그녀는 이재명 정부가 '흡수통일'이라는 망..

이슈 2025.07.28

북한, 침묵 속 응답… '인도주의' 외침에 답한 6명의 귀환

북한 주민 6명의 귀환: 인도주의적 조치와 남북 관계의 미묘한 신호정부는 동해상에서 표류하다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지난 9일 동해상을 통해 돌려보냈습니다. 그간 통일부 안팎에서 제기된 ‘그들은 진짜 북한으로 돌아가고 싶었을까’ ‘여러 송환 방법이 있을 텐데 우리가 붙들고 있는 건 아닐까’ ‘그들이 있는 동안 우리가 좀 못되게 굴어서 북한이 꼬투리 잡으면 어쩌나’ 등 쌓였던 궁금증은 이날 당국자의 설명으로 상당 부분 풀렸습니다. 귀환 의사 확인과 가족, 생계의 현실당국자에 따르면 이들은 모두가 일관되게 북한으로 돌아가겠다는 뜻을 밝혔다고 합니다. 우리 정부 조사뿐 아니라 유엔군사령부(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와 중립국감독위원회의 면담에서도 여러 번 확인했는데, 한 명씩 불러 의사를 물어도 꾸준히..

이슈 2025.07.20

유흥식 추기경 DMZ 방문 불발: 유엔사의 결정과 정치적 파장

유엔사의 DMZ 출입 불허 결정: 배경과 파장유흥식 추기경의 비무장지대(DMZ) 방문이 유엔군사령부(유엔사)의 불허로 무산되면서, 정치권에서 DMZ 출입 통제 권한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복수의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유 추기경은 천주교 인사들과 함께 DMZ 방문을 계획했으나, 유엔사가 출입을 승인하지 않았습니다. 유엔사는 공동경비구역(JSA) 현장 접근에 대한 기존 프로토콜과의 불일치를 불허 사유로 밝혔습니다. 유엔사는 JSA 출입 개인의 안전과 보안에 대한 책임을 강조하며, DMZ 출입 시 사전 승인 절차 준수를 요구했습니다. 이번 결정은 정전협정에 따라 DMZ 출입에 대한 유엔사의 통제 권한을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유엔사의 입장: 안전과 보안, 그리..

이슈 2025.07.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