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L 역사상 가장 무거운 신인, 데스먼드 왓슨
미국프로풋볼(NFL) 역사상 가장 무거운 체중으로 입단한 신인 수비수 데스먼드 왓슨(22·탬파베이 버커니어스)이 훈련을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27일 AP통신에 따르면, 왓슨은 현재 체중 때문에 비 풋볼 부상자 명단(Non-Football Injury List)에 올랐습니다. 그의 NFL 데뷔를 향한 여정에 빨간불이 켜진 셈입니다.
드래프트 실패와 자유 계약, 그리고 새로운 시작
왓슨은 올해 4월 NFL 신인 드래프트에서 지명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포기하지 않고, 자유계약으로 탬파베이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로서의 꿈을 이어갔습니다. 플로리다 대학교에서 활약한 그는 지난 3월 학교 NFL 공개 훈련 행사인 ‘프로 데이’ 당시, 몸무게 측정 결과 464파운드(약 210kg)를 기록했습니다. 이 행사는 대학 선수들이 NFL 스카우트 앞에서 자신의 기량을 보여주는 자리로, 드래프트 지명을 위한 중요한 평가가 이뤄집니다.
수비 라인, 왓슨의 포지션과 역할
왓슨은 ‘디펜시브 태클’(Defensive Tackle) 포지션을 맡아 수비 라인 중앙을 지킵니다. 이 포지션은 상대 공격의 러닝 플레이를 막고 쿼터백을 압박하는 역할로, 일반적으로 빠른 반응 속도를 갖춘 거구의 선수가 맡습니다. 왓슨은 210kg에 달하는 거대한 몸집으로 상대 공격수들을 압도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지만, 훈련 연기로 인해 그의 활약을 당분간 지켜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감독의 코멘트: 왓슨의 미래는?
토드 볼스 탬파베이 감독은 “왓슨은 현재 ‘일일 관찰 대상’”이라며 “그가 더 나아질 수 있도록, 더 건강한 몸으로 경기장에 나설 수 있도록 돕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현재 팀 영양사와 협력해 체중 관리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감독은 왓슨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건강 회복과 성공적인 NFL 데뷔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체중 감량과 복귀, 그리고 극복해야 할 과제
그는 “지금으로선 왓슨과 함께 그 일을 해나가고 있다는 게 전부”라며 “그가 얼마나 감량할 수 있을지, 언제 복귀할지는 아직 정해진 게 없다”고 했습니다. 왓슨의 복귀 시점은 아직 미정이며, 체중 감량이 가장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왓슨이 얼마나 몸무게를 감량하고, 훈련에 복귀하여 자신의 기량을 발휘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더위는 문제없다, 중요한 건…
그러면서 “왓슨이 플로리다주 출신인 만큼 더위에는 익숙하다. 그건 문제가 되지 않는다”라며 “중요한 건 경기 출전이 가능한 수준까지 몸을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왓슨은 플로리다 출신으로 더위에 대한 적응력은 뛰어나지만, 210kg의 거구로 인해 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그의 성공적인 NFL 데뷔를 위해서는 체중 감량과 체력 증진이 필수적입니다.
핵심 요약: 210kg 거구, 왓슨의 NFL 도전과 미래
210kg의 압도적인 체격으로 NFL에 도전장을 내민 데스먼드 왓슨. 드래프트 실패, 훈련 연기라는 난관 속에서도 그의 꿈은 꺾이지 않았습니다. 팀의 지원과 본인의 노력을 통해 건강한 몸으로 경기장에 복귀하여, NFL 무대에서 활약하는 그의 모습을 기대해 봅니다.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Q.왓슨은 어떤 포지션에서 뛰나요?
A.왓슨은 ‘디펜시브 태클’(Defensive Tackle) 포지션으로, 수비 라인 중앙에서 상대 공격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Q.왓슨의 훈련 연기 이유는 무엇인가요?
A.현재 체중 때문에 비 풋볼 부상자 명단(Non-Football Injury List)에 올라 훈련을 받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Q.왓슨의 NFL 데뷔 가능성은?
A.체중 감량과 체력 증진이 관건입니다. 팀의 지원과 본인의 노력을 통해 건강한 몸으로 복귀한다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득구 의원, 조국 사면 건의: 죗값 치렀다, 정치 보복의 희생양 (0) | 2025.07.27 |
---|---|
15만원 소비쿠폰, 억대 연봉자 139만명도 받는다? 급증하는 고소득층과 소비쿠폰의 상관관계 (0) | 2025.07.27 |
정남진 장흥물축제: 찜통더위, 시원하게 날려버릴 짜릿한 물놀이 축제! (1) | 2025.07.27 |
2072년 월급의 1/4을 건강보험료로? 서울대 연구, 미래 의료비 폭탄 현실화 (0) | 2025.07.27 |
벼랑 끝 외교: 구윤철-베선트, 관세 폭탄 D-1, 마지막 담판의 숨 막히는 긴장감 (1) | 2025.07.27 |